COVER STORY이슈 팩트 읽기 두 갈래로 쪼개진 통상 환경, AI·첨단 제조 접목해 새 시장 연다

미국이 9월 2일(현지시각) 중국에서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자격을 부여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미국 정부는 바이든 정부 시절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체제를 강화하면서 노광 장비 등 미국 기술을 활용한 중요 반도체 장비를 중국에 반출하려면 건별 심사를 통해 허락받도록 했다.

두 갈래로 쪼개진 통상 환경,  AI·첨단 제조 접목해 새 시장 연다
COVER STORY함께 풀기 “소부장 생존 전략 세계 유일 제품, 수출 시장 다변화로 전환해야”

미국의 상호 관세와 세계적인 공급망 재편 흐름에서 한국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이 새 활로를 찾고 있다. 국내 소부장 산업은 중국의 가격 경쟁력에 밀려 위기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2019년 일본의 반도체 수출 규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이제는 생존의 길을 열었다.

“소부장 생존 전략 세계 유일 제품, 수출 시장 다변화로 전환해야”
COVER STORY깊이 보기 급변하는 통상, K-소부장의 미래 전략

2025년 현재, 국제 통상은 ‘경제 안보’라는 개념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논의하기 어렵다. 많은 국가가 미래 가치가 높은 산업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기술과 인재를 전략적으로 통제하고, 희소 자원을 무기화하고 있다. 그 결과 상호 호혜의 가치는 약해지고, 대신 상대국의 경제 발전을 견제하거나 기존 공급망을 흔드는 시도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급변하는 통상, K-소부장의 미래 전략
COVER STORY깊이 듣기 “韓 소부장, 반도체·원전·조선 투자 늘리고⋯ 수시로 공급망 점검해야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는 지금, 한국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은 멕시코, 남미, 동유럽 등으로 수출 지역을 넓히는 동시에 반도체, 원자력 발전, 조선 등 유망 산업으로 수출 품목을 다변화 해야 한다.”

“韓 소부장, 반도체·원전·조선 투자 늘리고⋯ 수시로 공급망 점검해야

통상·FTA

“첨단 제조·모빌리티·헬스케어 분야 韓·튀르키예 협력 잠재력 커”?replace('
통상 현장“첨단 제조·모빌리티·헬스케어 분야 韓·튀르키예 협력 잠재력 커”
위협을 기회로 바꾼 기술 리더십, 사이버 보안 강국 이스라엘?replace('
글로벌 현장 리포트위협을 기회로 바꾼 기술 리더십, 사이버 보안 강국 이스라엘
미·중 갈등 속 글로벌 공급망 재편 불러오는 무역 대조정?replace('
글로벌 트렌드미·중 갈등 속 글로벌 공급망 재편 불러오는 무역 대조정
첨단산업 발전 위해 ‘핵심 광물 강국’ 호주와 협력 필수?replace('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첨단산업 발전 위해 ‘핵심 광물 강국’ 호주와 협력 필수
수에즈운하 대신 북극 우회…운항 기간 절반 단축?replace('
글로벌 통상 뉴스수에즈운하 대신 북극 우회…운항 기간 절반 단축
  • 정기구독
  • 뉴스레터
  • 독자의견
  • EVENT

인터뷰

“지정학 긴장 속 한국, 공급망 정상화 이끌 역할 기대” 에두아르도 페드로사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사무국장

“지정학적 환경 변화, 지역·국제기구의 역할 변화 등 대응해야 할 문제가 산적한 가운데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이하 APEC 2025)에서 열리는 각각의 회의에 얼마나 중요한 의미가 있는지 전 세계인이 알게 됐으면 좋겠다.” 에두아르도 페드로사(Eduardo Pedrosa) APEC 사무국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APEC 2025의 의미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이달의 뉴스

김정관 장관, APEC 경제인 행사 준비 상황 점검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9월 18일 경상북도 경주시를 방문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경제인 행사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 인공지능이 이끄는 금융의 진화

    인공지능(AI)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금융 서비스의 제공 및 소비 방식이 대전환을 맞이했다. 시티그룹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AI로 글로벌 은행 업계 수익이 향후 6년간 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 주도 새 질서…협력·자율 추구하는 다층 전략 필요
  • 미국을 움직인 숨겨진 힘, 관세의 역사
  • CBP 사전심사제도 판정 사례 연구
  • FDI 지형 바꾸는 트럼프 2기 ‘미국 우선’ 정책